목차
- 데이터베이스
- RDBMS
- RDS
1. 데이터베이스 (Database)
데이터 베이스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들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DB는 어느 순간, 우리 일상 생활에서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베이스, DB라고 부릅니다.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통해 DB를 사용합니다.
2. 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연관 관계가 있는 데이터들의 모음이라 생각하면 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 테이블(Table)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의 각 행은 기본키(Primary Key)라 부르는 고유의 식별자로 구분하고, 여러 테이블에 있는 행들은 외래키(Foreign Key)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이 가능.
테이블을 재구성하지 않아도,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 및 조합 가능하다.
*SQL : 사용자와 관계형데이터베이스를 연결시켜주는 표준 검색 언어
3. RDS (Relational Database System)
여기서는 RDS를 Amazon RDS를 말한다.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DB를 더욱 간편하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
RDS는 주로 대다수가 사용하는 6개의 DB 엔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아마존 RDS서비스를 얘기한다.
AWS에서 DB를 사용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나뉜다.
- EC2 직접 DB 설치
- AWS에서 제공하는 DB 서비스 이용
이 두가지 방법 중에 2번은 사용을 추천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관리가 용이하다" 라는 이유 때문이다. DB를 직접 설치할 경우에는 직접 관리를 해야하지만, 2번을 사용을 한다면, AWS에서 알아서 자동으로 관리를 해주기 때문에, 보다 편히 사용이 가능하다.
RDS를 사용하는 장점
- 유연한 인스턴스 및 스토리지 확장
- 손쉽게 사용 가능한 백업 및 복원 기능
- 멀티 AZ(Availability Zone)를 통한 고가용성 확보
- RDS 암호화(Encryption) 옵션을 통한 보안성 강화
- Database Migraion 서비스
이와 같이 정리가 가능합니다.
'WEB ( Back, Front)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6 로드 밸런싱 (0) | 2020.09.25 |
---|---|
AWS #5 DNS (0) | 2020.09.24 |
AWS #3 네트워크 (0) | 2020.09.22 |
AWS #2 Storage 개념 (0) | 2020.09.21 |
AWS #0 주요 서비스 (0) | 2020.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