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 ( Back, Front)/AWS

AWS #5 DNS

by 프리랜서가 들려주는 IT세계 2020. 9. 24.
반응형

목차

  1. DNS
  2. Amazon Route 53

1. DNS (Domain Name System)

DNS 서비스는 중간자의 역할로 AWS에서 보내는 IP를 Domain 이름으로 사용자들에게 보낸다.

예를 들어, "www.~~~.com" 이렇게 보이는 이유가 DNS가 IP주소를 변환하여 웹사이트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 해줍니다.

 

AWS Route 53 과 DNS의 작동원리

  1. User ----- (www.example .com) -----> DNS Resolver
    유저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 Resolver가 받는다.
  2. DNS Resolver ----- (www.example.com) -----> DNS Root Name Server
    Resolver 가 도메인을 Root Name 서버로 전달
  3. DNS Resolver <----- Name Server(.com TLD) ----- DNS Root Name Server
    .com TLD 서버로 가라고 지표를 Resolver에게 전달
  4. DNS Resolver ----- Name Server(.com TLD) -----> Name Server (.com TLD)

  5. DNS Resolver <----- Amazon Route 53 Name Server ----- Name Server (.com TLD)

  6. DNS Resolver ----- (www.example.com) -----> Amazon Route 53 Name Server

  7. DNS Resolver <----- (IP : 123.123.123 ) ----- Amazon Route 53 Name Server
  8. DNS Resolver ----- (IP : 123.123.123) -----> Users

대략 이렇게 작동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DNS 작동원리"라 검색하면 이보다 더 자세하게 나옵니다.

2. Amazon Route 53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클라우드 기반의 DNS 웹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컴퓨터 간의 연결을 위해 위와 같은 "www.example.com" 도메인이 오면, IP 숫자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다.

AWS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서비스와 효과적으로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특징

  • 가용성,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기반 DNS 웹 서비스
  • 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된 DNS 레코드 타입과 값 조정
  • 각종 다양한 로드 밸런싱 기능 지원
  • Route 53과 IPv6와 완벽하게 호환
  • EC2, ELB, S3 Bucket 등 인프라로 직접 연결 가능
  • 외부의 인프라로 라우팅 가능
  • Route 53 Traffic Flow를 사용하면, 지연 시간 기반 Route 기능 가능
  • Route 53에서 도메인 이름 등록 지원

기능

  • 연결 체크 및 Failover (Health Checks and Failover)
  • 고가용성 DNS (High Availability DNS) 서비스 및 DNS Failover
  •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Latency Based Routing)
  • 가중치 기반 라우팅 (Weighted Route Robin Routing)
  • 지역 기반 라우팅 (Geolocation Routing)

기본적으로 DNS 및 AWS Route 53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WEB ( Back, Front)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7 CDN  (0) 2020.09.28
AWS #6 로드 밸런싱  (0) 2020.09.25
AWS #4 DB  (0) 2020.09.23
AWS #3 네트워크  (0) 2020.09.22
AWS #2 Storage 개념  (0) 2020.09.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