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 AWS #7 CDN 목차 CDN Amazon CloudFront 1.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CDN :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CDN을 통해 온라인 상의 대용량 컨텐츠를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전송하도록 한다. 주요 ISP (Internet Services Provider)의 CDN 서버에 컨텐츠를 분산시키며, 유저의 네트워크 경로 상 가장 가까운 곳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도록 하여 트래픽이 특정 서버에 집중되지 않는다. 즉, 각 지역의 분산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거의 요즘 서비스들은 CDN의 기술을 거의 적용했을 것이다) 2. Amazon CloudFront Amazon CloudFront : 짧은 지연 시간.. 2020. 9. 28. [개념] REST 목차 REST 란? RESTful 제약 REST API @RestController REST API 문서화 1. REST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World Wide Web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 REST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의 모음이다. '네트워크 아키텍처'란?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전반을 일컫는다. 웹 상의 자료를 HTTP위에서 SOAP나 쿠키를 통한 세션 트랙킹 같은 별도의 전송 계층 없이 전송하기 위한 아주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REST 아키텍처 형상을 따르면, HTTP나 WWW이 아닌 커다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모트 프로시저 콜.. 2020. 9. 25. AWS #6 로드 밸런싱 목차 로드 밸런싱 Amazon ELB(Elastic Load Balancing) 1.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네트워크 트래픽을 하나 이상의 서버나 장비로 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이다.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는 SW or HW를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라 한다. 로드 밸런싱을 통해 외부의 많은 트래픽을 분산 처리가 가능하다. 여러 웹 서버를 두거나 장비로 부하를 줄이는 방법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웹 트래픽 증가에 대한 처리 방법 두 가지다. Scale Up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Scale out 노드 여러개를 이용하여 Cluster로 구성하는 방법 위의 두가지 방법은 장단점이 존재한다. Scale Up 장점 기존보다 높은 성능으로 서.. 2020. 9. 25. AWS #5 DNS 목차 DNS Amazon Route 53 1. DNS (Domain Name System) DNS 서비스는 중간자의 역할로 AWS에서 보내는 IP를 Domain 이름으로 사용자들에게 보낸다. 예를 들어, "www.~~~.com" 이렇게 보이는 이유가 DNS가 IP주소를 변환하여 웹사이트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 해줍니다. AWS Route 53 과 DNS의 작동원리 User ----- (www.example .com) -----> DNS Resolver 유저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 Resolver가 받는다. DNS Resolver ----- (www.example.com) -----> DNS Root Name Server Resolver 가 도메인을 Root Name 서버로 전달 DNS Resolver .. 2020. 9. 24.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