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

[MongoDB] 몽고DB 설치 MongoDB? -> 몽고DB는 크로스 플랫폼 도큐먼트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NoSQL 데이터베이스로 분류되는 몽고DB는 JSON과 같은 동적 스키마형 도큐먼트들을 선호함에 따라 전통적인 테이블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사용을 삼간다. 이로써 특정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고 더 빠르게 데이터 통합을 가능케 한다. 아페로 GPL과 아파치 라이선스를 결합하여 공개된 몽고DB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위키백과) 설치 방법 https://www.mongodb.com/ The most popular database for modern apps We're the creators of MongoDB, the most popular database for modern apps, and .. 2019. 9. 7.
[Node.js] NPM이란? 무엇인가? 생각보다 요즘 Node 프로젝트들이 생겨나는 추세인 것 같다. 첫 프로젝트에서 Node.js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했으며, 유지보수도 생각보다 괜찮게 할 수 있어서 좋다. JavaScript 기반의 언어지만, NPM이란 개념을 알게 된다면, 무서워할 필요는 없다. NPM (Node Package Manager) 란? 노드 패키지 매니저로 JavaScript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패키지 관리자이다.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 Node.js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이다. NPM의 장점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Package를 만들어서 https://www.npmjs.com/ npm | build amazing things Bring the best of open source to your company npm is .. 2019. 9. 3.
[기록] 19.09.02 9월. 바람이 선선해졌다. 야근을 하고 나오면, 바람이 시원해서 머리가 식혀지는 기분이다. 무더운 여름도 갔지만, 이제는 겨울이 찾아오겠지. 근무 1년이 되어 갈려고 한다. 오늘도 무사히 보냈다. 지난 봄을 생각하면, 나는 무엇을 하는지, 난 여기서 뭐하는지, 그리고 이래도 되는지 고민을 했던 날들이 있다. 그리고 그 날들은 이제 지났다. 이제는 새로운 일들이 나에게 찾아왔다. 어떻게 하면 구현할 수 있을지, 기한을 맞출 수 있도록 하자, 다른 생각할 겨를도 없이 스스로 해결해보자. 정 안되면, 질문하자. 혼자 끙끙 앓다간 병나니깐. 2019. 9. 2.
[기초] Singleton Pattern ※코딩에도 디자인 패턴이라고 들어는 보았나요? 개발하면서 무작정 날코딩으로 작성하는 것보단, 패턴에 의해서 작성한다면, 다른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도 도움이 될 뿐더러, 협업을 하는데 낭비되는 시간들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Singleton pattern 들어는 보았는가? 싱글톤(singleton)이란? Application이 시작될 때, 어떤 클래스가 최초 한번만 메모리를 할당하고(Static) 그 메모리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사용하는 디자인패턴이다. 즉, 불필요한 메모리 참조를 줄이고자 만든 패턴이다. 생성자가 여러 차례 호출되더라도 실제로 생성되는 객체는 하나고, 생성 이후 호출된 생성자는 최초에 생성한 객체를 반환한다. 싱글톤을 쓰는 이유? 고정된 메모리 영역을 얻으면서 한번의 new로 인.. 2019. 8.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