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자5

개발자라는 직업에 대한 고찰 개발자의 직업으로 올해 2년이 되어간다. 처음에 누구나 다 똑같은 것 같다. 내가 개발을 맡는다면 그것이 정말로 큰 일이라고 믿어지는 것이. '내가 그것을 과연 구현해낼 수 있을까?'라는 고민도 많이 했던 것 같다. 그렇지만 정말로 신기한게 선배들은 늘 이렇게 얘기한다. "그거 알아요? 그거 다 시간이 해결해줘요~" 솔직히 이 말을 들을 때는 '뭐야 이사람? 말이야 방구야?'라고 생각한다. 근데 시간이 지나고 보니 내가 고민했던 문제들은 해결되고 다른 고민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개발자라는 직업에 대해서 아직은 다 알지 못한다. 내가 경험한 것들이 '개발자는 이렇습니다'라고 하는 것도 웃기다. 그냥 지표라는 건 없고, 통상적으로 이렇다는 것도 없다. 그냥 내가 생각한 대로 일하면 그냥 그것이 직업이 되는.. 2020. 9. 21.
Map vs List 차이 웹 개발을 하면서 가장 많이 보는 것이 1. Map 2. List 이 두 가지라 생각한다. 개발을 하면서 Map은 어느 상황 때, 그리고 List는 언제 사용하는지 궁금한게 많았었다. 이번 기회에 정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정리해본다. 밑에 보고 빠르게 정보를 알아야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Map Map은 "Key 값 : Value 값" 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장점 : 원하는 값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으며, 빠르게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DB에 특정한 값을 빠르게 트랜잭션할 때,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비고 : 수집의 순서를 기억X, 동일한 데이터를 Key값으로 사용X 2. List List는 DTO의 설정 값에 따라 값을 담겨주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List 이.. 2020. 9. 15.
[책 소개] 커리어 스킬 개발을 한다는 것. 개발자로 산다는 것. 나는 왜 개발자가 되었는가? 우리 나라의 개발 문화는 어떤가? 나는 어떻게 행동해야 되는가? 저는 고민이 많습니다. 네. 맞습니다. 저는 신입입니다. 그래서 궁금한게 많지요. 그래서 이 고민을 털어버리고 싶지만, 일터는 너무나 바쁘고, 여유를 느끼기엔 아직 짬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좋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즐거움을 얻기도 하고요. 그렇지만 그들이 나의 이런 고민거리들을 다 해결해주진 못합니다. 고민은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책을 찾게 되었습니다. 교보문고를 검색을 하다보니, 이벤트로 이런 것이 있더라구요? http://www.kyobobook.co.kr/eventRenewal/eventViewByPid.laf?even.. 2019. 9. 16.
[기록] 19.09.02 9월. 바람이 선선해졌다. 야근을 하고 나오면, 바람이 시원해서 머리가 식혀지는 기분이다. 무더운 여름도 갔지만, 이제는 겨울이 찾아오겠지. 근무 1년이 되어 갈려고 한다. 오늘도 무사히 보냈다. 지난 봄을 생각하면, 나는 무엇을 하는지, 난 여기서 뭐하는지, 그리고 이래도 되는지 고민을 했던 날들이 있다. 그리고 그 날들은 이제 지났다. 이제는 새로운 일들이 나에게 찾아왔다. 어떻게 하면 구현할 수 있을지, 기한을 맞출 수 있도록 하자, 다른 생각할 겨를도 없이 스스로 해결해보자. 정 안되면, 질문하자. 혼자 끙끙 앓다간 병나니깐. 2019.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