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EB ( Back, Front)33 [기록] 19.09.02 9월. 바람이 선선해졌다. 야근을 하고 나오면, 바람이 시원해서 머리가 식혀지는 기분이다. 무더운 여름도 갔지만, 이제는 겨울이 찾아오겠지. 근무 1년이 되어 갈려고 한다. 오늘도 무사히 보냈다. 지난 봄을 생각하면, 나는 무엇을 하는지, 난 여기서 뭐하는지, 그리고 이래도 되는지 고민을 했던 날들이 있다. 그리고 그 날들은 이제 지났다. 이제는 새로운 일들이 나에게 찾아왔다. 어떻게 하면 구현할 수 있을지, 기한을 맞출 수 있도록 하자, 다른 생각할 겨를도 없이 스스로 해결해보자. 정 안되면, 질문하자. 혼자 끙끙 앓다간 병나니깐. 2019. 9. 2. [주석] 코드 문서화를 위한 주석 규칙 (@param, @return 활용기) 프로젝트 소스를 보다가 이런 주석이 있다. /** * 요청 결과 상세 조회. * * @param request the request * @param commonInfo the common info * @return the req result detail */ 여기서 @param, @return은 무엇? @param 변수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즉, 멤버 변수에 주석은 @param을 사용한다. @return 리턴 설명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어노테이션들이 많다. 주석 작성 comment block comment block은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 * @command */ @file 현재 파일 이름을 작성 파일 표시 @file을 작성하지 않으면 문서화 하지 않는.. 2019. 8. 29. [기초] HTTP란? "와... HTTP 통신방식... 이걸 모르면 인간이냐?" 이런 소리를 들었다. 그래... 맞다... 나 개빠가다... 후... 그래서 배운다. (약간의 과장이다~ 너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자^^ 헤헤) HTTP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로써 컴퓨터(Client) 와 컴퓨터(Server)간의 통신 간에 엄격한 규약이 존재한다. (※ 나중에 HTTP 책{동물그림}을 한 번 정독해두면 개발자들 사이에서 대화하는데 급을 알 수 있다한다^^ -프리랜서- ) 즉, Web Browser 와 Web Server 간의 통신규약이 있으며,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규약들이다. HTTP 통신을 왜 알아야 하냐면! API 설계 시 꼭 필요하며! API 개발할때, HTTP.. 2019. 8. 29. 어느덧 9개월 시간이 무섭게 흘러간다. 언제부터인가. 시간이 너무 빠르게 흘러간다. 나의 프로젝트는 벌써 2번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SI는 정말 SI 답게 흘러가는 것 같다. 이번 프로젝트는 설계부터 시작해서 개발 진행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번 주 8.30까지 개발 완료인데... 나는 여유롭다. 아니 여유로워지려고 노력하고 있더라... 처음으로 API개발을 맡아 진행하고 있는데, 역시 안 되는 일은 없는 것 같다. 일을 맡았을 때의 나의 심정은 "와. 드디어 개발한다. 행복하다. 드디어 한다!" 이러고 있었지만, 정말 다시 생각해도 귀엽다?ㅋㅋ 3일이 지나고 나서, 심정은 바뀌었다. "나 이러다가 못하면 어쩌지? 안 되겠다. 주말에도 일해야겠다"라는 마음을 가졌다. 그렇지만ㅋㅋ 주말엔 열심히 쉬고 놀았다. 그리.. 2019. 8. 28. 이전 1 ··· 4 5 6 7 8 9 다음 반응형